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4

[운]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 대하여_1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기본 원리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정의와 차이점 인공지능은 기계가 인간처럼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판단을 내릴 수 있게 하는 기술의 폭넓은 분야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게임 플레이, 언어 인식,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서, 알고리즘이 데이터로부터 학습하고, 그 학습을 통해 자동으로 패턴을 인식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입니다. 즉, 명시적인 프로그래밍 없이도 컴퓨터가 학습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차이점은, 모든 머신러닝이 인공지능에 속하지만, 모든 인공지능 시스템이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머신러닝은 데이터로부터 학습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 2024. 3. 6.
[운] DDoS란 무엇인가 DDoS(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대상의 네트워크나 서버에 과도한 트래픽을 일으켜 정상적인 서비스 이용을 방해하는 사이버 공격 방식입니다. 이 공격의 목적은 대상의 시스템을 과부하 상태로 만들어 서비스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DDoS 공격은 단순 서비스 거부(Simple Service Denial, SSD) 공격과는 달리, 분산된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하기 때문에 방어가 더 어렵습니다. DDoS 공격의 주요 특징 분산성: 공격은 하나의 출처가 아닌 여러 대의 컴퓨터(종종 '봇넷'이라고 불리는 해킹된 컴퓨터의 네트워크)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공격의 추적과 방어를 복잡하게 만듭니다. 대량의 트래픽: 공격자는 대상의 네트워크나 서버로 대량의 요청을 보내 시스템을 마비시킵니다.. 2024. 3. 2.
[운] VPN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공용 네트워크(주로 인터넷)를 통해 가상의 개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는 기술입니다. VPN을 사용하면, 원격 지점이나 개인 사용자가 안전하게 기업 네트워크나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VPN은 데이터의 암호화, 인증을 통해 보안성을 강화하며, 기업의 원격 접속, 개인의 인터넷 프라이버시 보호, 지역 제한 콘텐츠의 접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VPN의 작동 원리 VPN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터넷상에서의 전송 과정을 보호합니다. 사용자가 VPN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통해 VPN 서버에 접속하면, VPN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VPN 서버로 전송합니다. VPN 서버는 이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목적지로 전송합니다. 응답 데이.. 2024. 3. 1.
[운] 방화벽이란 방화벽(Firewall)은 네트워크 보안의 핵심 요소로, 허용되지 않은 접근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방화벽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또는 단일 컴퓨터와 외부 네트워크(인터넷) 사이의 관문 역할을 하며, 데이터 패킷을 검사하여 사전에 정의된 보안 규칙에 따라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합니다. 방화벽의 기본 기능 트래픽 필터링: IP 주소, 포트 번호, 프로토콜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합니다. 상태 검사(Stateful Inspection): 연결의 상태 정보를 추적하여, 유효한 세션 트래픽만 네트워크를 통과시킵니다. 애플리케이션 레벨 게이트웨이(Application Level Gateway, ALG):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HTTP, F.. 2024. 3. 1.
[운] DHCP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에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하고, IP 주소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DHCP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비에 필요한 IP 설정(예: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DNS 서버 주소 등)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네트워크 설정의 수동 구성 오류를 줄이고, IP 주소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DHCP의 작동 원리 DHCP 작동 과정은 일반적으로 "DORA" 과정으로 설명됩니다: Discovery, Offer, Request, Acknowledgment. Discovery: DHCP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DHCP 서버를 찾기 위해 D.. 2024. 3. 1.
[운] GSLB란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여러 데이터 센터 간의 트래픽을 관리하고 분산시키는 기술입니다. GSLB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 서버의 상태, 네트워크 상황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트래픽을 적절한 서버로 라우팅합니다. 이는 웹사이트의 가용성과 성능을 최적화하고,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트래픽을 다른 서버로 전환하여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GSLB의 작동 원리 GSLB는 DNS 시스템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기본적인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요청: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사용자의 DNS 질의문이 GSLB가 관리하는 권한 있는 DNS 서버로 .. 2024. 3. 1.